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개론/교육철학

현대의 교육철학


실증주의

실증주의는 다른 말로 경험주의라고도 말하며 경험주의는 즉,
누가보더라도 아 이런거구나~! 라고 타당하게 여겨지는 것
바로 객관적이다 그래서 객관주의라고도 말하며

실증주의는 과학주의 성향도 띄고 있다
과학주의는 가설을 세워서 실험하거나, 증거 자료를 수집 해서 타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증주의는 자연과학의 발달과 계몽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등장하게 되었고,

실증주의를 이끌어간 인물은 콩트, 영국의 밀, 스펜서, 프랑스 뒤르껭이 있다

실증주의의 특징은
아까 앞에서도 말했듯이 경험주의적 이며 객관주의이다
그래서 외현적 현상과 현상들 간의 관계를 연구대상으로 삼아서 이들을 지배하는 보편적인 법칙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두번째로 과학주의
마지막으로 사회학주의가 있다

사회학주의는 두가지로 또 나뉘게 되는데 기계론적 세계관과
유기체적 세계관이 있다 기계론적 세계관은 실증주의와는 거리가 쫌 멀어서
다루지 않겠다 유기체적 세계관이 실증주의에 속하는데
유기체적 세계관은 생명을 가지고 움직임 즉, 사회에 적용했을때 나타나는 움직임
뭐 인간도 여기에 포함되니까 당연하다

이로써 실증주의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1. 행동주의
2. 양적 교육연구
3. 체제접근 이 있다

행동주의는 외적인 행동으로 인해서 어떠한 법칙을 찾아내고자 한 것인데
법칙은 자극과 반응을 이용해서 얻어지는 결과!
이런것을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을때 바로 학습이란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강아지가 고기를 좋아한다 외부에 던저진 고기를 강아지가 뛰어가서 먹게 되는데
이런 행동을 못하게 학습하려고 한다
던져지는 고기에 고춧가루나 생강 마늘 등을 넣어서 외부에 던졌을때
강아지는 모르고 또 그 고기를 먹다가 변을 당하는 것이다

속이 타고 뭐 매워서 아무튼 헥헥 됐을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또 고기를 똑같이 해서 던졌다
또 먹다가 헥헥 됐다

그리고 그 다음에 또 고기를 똑같이 해서 던졌을때
강아지는 안먹게 된다
강아지는 그때서야 아 고기를 먹으면 이렇게 되는구나를 알게 되고 안먹게 되는데 한번 그렇게 알다가 또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아까같이 반복적인 자극과 반응을 똑같이 해준다음

이젠 아무리 던져진 고기라도 강아지는 머리에 박히게 되는 것이다
던져진 고기는 안먹어! 라고 뇌에 박히는 거다

나머지 양적 교육연구와 체제접근은 그냥 알아두기만 하자 행동주의가 가장 중요하다는 뜻이다



분석적 교육철학
실증주의가 철학적 의미를 담아지면 바로 신실증주의로 됐는데
신실증주의는 다른말로 논리실증주의, 현대실증주의를 말한다

바로 이런것을 통틀어서 분석적 교육철학이라고 뜻하는 것이다

실증주의는 또한 이원론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데
참고로 이원론적 이듀가 내새운 교육도 이원론적 세계관이다

아무튼, 실증주의는 인간은 존엄한 존재라고 뜻했고,
분석적 교육철학의 대상은 경험과 논리에 의한 실증과 언어의 의미분석과 명료화다
논리에 의한 실증은 어떤 명제의 진실성을 경험과 논리에 의해 실증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언어의 의미분석은 언어를 분석해서 얻어진 결과를 명료화한 것이 바로 철학이다!
라고 말했다 이거는 그냥 풀어서 해석하면 될 듯하다

분석적 교육철학의 의의
- 독자 학문으로서의 교육철학 성립에 기여
- 교육철학의 기본적 방법론 제시
- 교육적 용어의 명료화
- 분석적 교육철학자

이러한 분석적 교육철학의은 한계가 있는데
그 한계란 바로 논리 분석과 언어 분석에 치중하여 바람직한 세계관이나 윤리관의 확립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논리에 치중하여 교육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정의적 실재와 그 의의를 소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음 그렇다면 이러한 분석적 교육철학이 한계가 문제라는 건데
이것에 대해서 반론적인 면이 없었을까?

있겠지 왜 없겠는가!


문제제기를 한 바로 즉시 나온게 현상학 이다
현상학 말고도 해석학, 실존주의(인간주의)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럼 현상학은 무엇인가?






현상학!
현상학은 재구성을 해서 다시 보겠다 라는 것이다

그래서 현상학은 다른말로 구성주의 ! 재구성 하니까 구성주의! 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것을 지금 우리 교육에서 평가하는것이 바로 수행평가다 !

현상학의 기본 입장은 이렇다
먼저 이원론적 세계관을 부정했다 신실증주의에서 이원론적 세계관이라고 했죠?
그리고 인간의식의 지향성이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에 대해 자신이 지니고 있는
개념과 이미지를 결합시켜 파악한다가 바로 인간의식의 지향성이다

지향성은 뭔가? 가치지향성이다 인간이 가치를 지향하다! 뭐 이런거겠죠
그것을 그래서 지향성이다~ 라고 말했다


현상학의 개념
인간이 지니고 있는 의식의 지향성! 으로 인해 새롭게 구성되어 나타난다

앎의 성격
앎은 의식밖에 있는 객관적 대상 때문이 아니라 인간으 내재적인 의미부여 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현상학을 이끈 사람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특성을 중시했는데 이 말은
인간 존재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이를 현존재로 불렀다
그 현존재에서는 세가지로 나뉘는데
1. 사실성 : 사실성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환경적 제약을 사실성으로 받아들이라 했다
2. 실존성 : 실존성은 인간이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시켜 가는 것을 실존성이라 하고
3. 전략성 : 전략성은 인간이 자신의 가능성을 인식 못하게 되면 무의미한 존재라 하게 된다


총 정리를 하면 현상학은 무엇을 발견했을때 우리는 그것을 처음 그대로를 받아들이지 않고
자기 자신 즉, 개개인이 재구성을 해서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재구성에서 받아지는 의미를
바로 현상학이라고 말한다



해석학
해석학은 현대에 와서 현상학의 영향으로 텍스트뿐만 아니라 교육을 포함한 인간행위의 의미를 이해하려는 방법으로 확대되어 언어, 의사소통, 대화에 관심을 초점을 두고 있다

해석학을 그냥 그대로 풀어서 보면 행동, 말, 글 을 통해서 얻어지는 지식 곧 그것이 문화라 생각 함

그것에 대해서 의미(가치지향)를 부여해서 해석(이해)에 초점을 둔다~ 라고 생각하면 OK~